경제공부 경제의 기본 개념
2018/11/12 - [스스로학습] - 경제공부 경제의 기본 개념 합리적 의사결정, 균형가격, 균형공급
중국식 자본주의에 대하여 서방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중국의 통계 수치의 부정확성을 지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통계의 편차는 정부의 수치 조작이라기 보다는 경제 시스템의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 하는 편이 더 옳을 것이다.
지난 2004년 4월 28일 중국 원자바오 총리의 경기 억제책이 한 달여만에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 정부의 통제력에 새삼 놀라면서 통계 수치의 이면에 있는 정부의 영향력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현재 중국은 시장경제라는 화려한 포장 덕에 자본주의 사회로 오인 받을 지경이지만, 엄연한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표방하는 공산주의 사회다. 사회주의는 계획경제입니다. 자본주의는 시장경제라는 공식에 익숙한 우리로서는 다소 낯선 표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중국은 시장경제인지 계획경제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한계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아보겠습니다. 유인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수요와 공급이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와 같은 경제 개념을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교환을 통한 이익의 개념과 가격의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키워드는 유인, 수요와 공급, 미시경제, 거시경제, 시장경제, 계획경제, 혼합경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한계 마지막 한 단위 즉 추가적인 한 단위를 말한다. 유인, 인센티브이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여건의 변화를 말한다.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고려 사항은 바로 편익과 비용이 됩니다. 추가적으로 편익과 비용을 한계적으로 하기에 개인이나 기업은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편익과 비용의 크기를 비교하여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한계란 마지막 한 단위 또는 추가적인 한 단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뷔페 식당에 갔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다보면 배가 부르게 되고, 음식을 더 먹어야 할지 그만 먹어야 할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뷔싼 뷔페요금을 생각할 떄 더 먹야 한다고 생각하면 우리는 이미 요금을 지불했기 때문에 매몰비용을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매몰비용을 제외하고, 앞으로 추가로 먹을 때 행복감을 느낄지, 배탈이 날 수도 있는 위험부담을 생각해야 합니다. 즉 한계적으로 생각하여 의사결정을 해야 합니다.
선택에 따르는 추가적인 행복과 추가적인 희생을 비교하여 선택하는 것이 경제적 사고방식에 의한 의사 결정이 됩니다. 우리는 이미 이런 원칙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는데 효용을 가장 크게 하고자하는 소비자의 행동과 이윤을 가장 크게 하고자 하는 기업의 행동에 의해서 한계의 원칙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제 주체들이 편익과 비용을 한계적으로 고려해 의사결정을 할 떄 주변 여견이 바뀌면 위사결정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 영향을 주는 주변 여견을 유인, 인센티브라고 합니다. 유인을 변화시킬 떄 반드시 경제주체의 반을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이유로 유기농 채소의 값이 오르면 특별히 유기농 채소를 고집하지 않는 사람은 일반 채소를 구입하여 대체 할 것 입니다. 농가 입장에서는 값이 올라 이득이 늘어났으므로 생산증대를 위한 활동을 할 것 입니다. 여기서 유기농 채소 값의 상승이 유인으로 작용하여 소비자와 농가의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 것 입니다.
나라 경제를 예를 들면 늘어나는 복지비용으로 인하여 재정적자가 누적되어 정부가 재정균형을 위해 소득세와 법인세 세율을 인상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면 단계적으로는 세수증가의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그러나 세수 인상의 국민들의 조세에 대한 저항과 함께 근로 및 투자의욕 감퇴를 가져오게 됩니다. 결국 세율 인상은 나라의 총 생산을 줄어들게 하여 종국에는 오히려 장기적으로 세수를 감수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경제정책 담당자는 경제 주체의 유인에 대한 반응에 유의해야 합니다.
경제를 말할 때 알아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사항은 바로 수요와 공급입니다. 수요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일정한 가격을 치르고 사려고 하는 의도를 말합니다. 공급은 생산자가 어떤 가격에 판매하고자 하는 의도를 말합니다. 즉 수요는 주관적으로 느끼는 효용을 최대화 하려는 소비자의 의사결정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상품의 가격 소비자의 소득 및 기호 등 과같은 요인으로 인해 변하게 됩니다. 공급은 이윤을 최대화 하려는 생산자의 합리적 의사결정 결과이며 상품 가격과 생산비용 등 과 같은 이유에 따라 변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각기 다른 힘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를 균형이라고 합니다. 시장의 균형도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는데 균형가격은 소비자들의 구입하려는 수량과 판매자들이 공급하고자 하는 수량이 일치하는 것을 말 합니다. 시장에서의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은 수요와 공급으로 인해 결정되게 됩니다. 즉 균형가격은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가격이고, 균형거래량은 균형가격에서의 수요량과 공급량을 말 합니다.
'스스로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경제학 아담 스미스 보이지 않는 손 (0) | 2018.11.15 |
---|---|
경제공부 사람들이 반응하는 경제적 유인 (0) | 2018.11.14 |
경제공부 생활속의 경제 경제활동, 기회비용, 희소성 (0) | 2018.11.12 |
경제공부 멘큐의 경제학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0) | 2018.11.11 |
경제학습 미시경제, 거시경제, 멘큐의 경제학 10대 기본원리 (0) | 2018.11.11 |